로고

건축사사무소 페미카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커뮤니티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공지사항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철근 구득난에 건설현장 피해급증, 민관합동 협의체로 풀어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516회   작성일Date 21-05-18 17:06

    본문

    제 목 철근 구득난에 건설현장 피해급증, 민관합동 협의체로 풀어야
    작성자 관리자
    연락처
    이메일 wnddkd65@naver.com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철강재는 물론 목재, 단열재 등 건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여기에 수급 불안까지 겹치면서 공사가 중단된 건설현장이 다수다.

      특히 건설현장의 철근값은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현장에서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SD400 강종은 지난 14일 기준 t당 97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t당 60만원 후반대에 머물던 것과 비교하면 50% 가까이 급등했다. 철근값이 t당 90만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08년 5월 이후 13년 만이다.

      여기에 공급 부족이 심화돼 웃돈을 줘도 제때 철근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사를 중단해야 하는 현장이 늘고 있다. 건자회가 건설현장 59곳을 조사한 결과 3~4월 중으로 공공현장 30곳이 평균 22.9일, 민간현장 29곳이 18.5일간 공사를 진행하지 못했다. 건자재난으로 인한 공사 중단사태가 현실화하고 있다.

      공사 중단에 따라 공기가 지연되면 건설사로서는 징벌적 지체상금을 물어야 한다. 또 관리비 등 간접비 부담도 가중된다. 빠듯한 예산으로 공사 실행률 맞추기에 급급한 건설현장이 적자를 낼 수 밖에 상황이 되고 있다. 이럴 경우 시설물의 품질과 안전 확보에 어려움이 가중됨은 물론이다.

      공사가 중단된 현장은 발주기관을 상대로 공기 연장 등을 요청했지만 대부분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인 원자재난으로 건자재값이 상승하는 것은 불가항력적 사유다. 그럼에도 공기연장이나 계약금액 조정해 주지 않는 것은 발주기관 갑질로 밖에 설명할 길이 없다.

      건자재값이 급등한 만큼 지수 조정 방식이 아니라 일부 특정 건자재값 변동을 반영한 개별 품목 조정 방식의 계약금액 조정을 하는 게 당연하다. 또 정부와 건설, 제강업계가 협의체를 구성해 선제적으로 수급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9건 2 페이지
    공지사항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
    관리자
    조회 Hit 616            작성일 Date 2021-06-01
    관리자 616 2021-06-01
    3
    관리자
    조회 Hit 516            작성일 Date 2021-05-18
    관리자 516 2021-05-18
    열람중
    관리자
    조회 Hit 517            작성일 Date 2021-05-18
    관리자 517 2021-05-18
    1
    관리자
    조회 Hit 562            작성일 Date 2021-05-18
    관리자 562 2021-05-18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