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금천·양천구 빌라 '깡통전세 주의보'···전세가율 90% 넘어서
페이지 정보

본문
제 목 | 서울 강서·금천·양천구 빌라 '깡통전세 주의보'···전세가율 90% 넘어서 | 작성자 | 관리자 | 연락처 | 이메일 | wnddkd65@naver.com |
---|
서울 강서·금천·양천구의 연립·다세대주택이 '깡통전세' 가능성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3일 공개한 '전월세 시장지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서울지역 연립·다세대주택의 신규 계약 기준 평균 전세가율은 84.5%로 나타났다. 갱신 계약은 77.5%로 높은 편이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격을 말한다.
구별로 신규 계약 기준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강서구가 96.7%로 가장 높았다. 금천구와 양천구도 각각 92.8%, 92.6%로 90% 이상이었다. 뒤를 이어 관악구(89.7%), 강동구(89.6%), 구로구(89.5%)도 90%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매매가와 전세가격의 차이가 작다는 것은 전세 계약 만료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 가능성이 높다는 걸 의미한다.
서울 전체 아파트는 신규계약 기준 평균 전세가율이 54.2%, 갱신 계약이 38.3%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2분기 전·월세 전환율은 아파트는 평균 3.9%, 연립·다세대는 5.2%로 집계됐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했을 때 적용하는 연 환산이율을 말한다. 전·월세 전환율이 높으면 전셋값에 비해 월세가 높다는 뜻이다.
서울시는 이번에 '서울시 전월세 정보몽땅'을 새로 개발, 서울주거포털에 시범공개했다. 서울 시내에서 이뤄지는 전월세 계약은 매년 약 47만건 정도 된다. 서울시는 임차물량과 정확한 거래가격 등을 제시해 세입자가 매물을 비교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시 전월세 정보몽땅은 △전월세 임차물량 예측정보(법정동·면적·주택유형·건축연한별) △지역별 전세가율 △전월세 전환율 등을 공개한다.
올해 8~12월 서울 시내에서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전월세 예측물량은 월 최대 2만6858건으로 올해 1월에서 7월, 월 평균 전월세 거래량은 3만9817건이었다.
서울시는 향후 신규 임차물량 예측력을 강화하기 위해 갱신 계약 중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계약과 그렇지 않은 계약, 신규 계약 가운데 갱신 없이 만료되는 물량을 추가로 반영해 공개할 예정이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임차인이 이사할 집을 계약하고 불안해하거나 불리한 계약에 놓이는 일이 없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전월세 수요자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택임대시장 정보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