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건축사사무소 페미카
  • 커뮤니티
  • 관련뉴스
  • 커뮤니티

    관련뉴스를 알려드립니다.

    관련뉴스

    관련뉴스를 알려드립니다.

    도시재생 활성화, 중소건설업체 참여가 필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612회   작성일Date 21-06-04 08:57

    본문

    제 목 도시재생 활성화, 중소건설업체 참여가 필수
    작성자 관리자
    연락처
    이메일 wnddkd65@naver.com
    기업참여 활성화...전문기업 인증 및 주거재생 플랫폼 구축해야

    건설정책연구원 ‘중소건설업과 함께 하는도시재생’ 세미나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시ㆍ도별 지원 조직을 갖춘 중소건설업체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건정연)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가 3일 공동주최한 ‘중소건설업과 함께 하는 도시재생’ 세미나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시행ㆍ설계ㆍ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소건설업이 참여하는 방안이 제기됐다.

    홍성진 건정연 책임연구원 ‘중소건설업 참여형 주거지 도시재생사업 모델’이라는 주제로 총괄사업관리자와 중소건설업의 협력모델과 이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 소개했다.

    주거지 도시재생은 주민참여 중심의 역량 강화, 사업시행 등을 목표로 추진했지만, 사업활성화가 더뎌 지난 2019년 총괄사업관리자 제도가 도입됐다. 그럼에도 LH 등 총괄사업관리자가 모든 주민 사업을 지원하기엔 한계가 있어 시공전문성을 갖춘 민간파트너인 중소건설업체의 참여 및 민관협력 사업 모델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시뮬레이션이 적용된 경기도 안양시 석수2동에서는 종합건설업체 105개, 전문건설업체 433개가, 충남 예산군 예산읍 예산3리에서는 종합건설업체 28개, 전문건설업체 54개가 각각 참여해 집수리ㆍ빈집 및 자율주택정비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사업에 참여한 중소건설업체는 시공 전문성을 기초로 단위사업 공사를 수행하고 시공 조건 컨설팅 및 공공매입임대를 활용한 부지 매입 등 사업시행 업무에도 참여하고 있다.

    아울러 도시재생 지원센터가 주관하는 공사 교육 아카데미에 적극 참여하고, 동네기술자의 건설업체 육성에 기여하는 중이다.

    이어 중소건설업체의 도시재생사업 진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도시재생전문기업 인증의 제도화’와 ‘주거재생플랫폼 구축’ 등이 제시됐다.

    홍 책임연구원은 “도시재생전문기업 인증 활성화를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사업 시행, 보조 또는 융자, 지방계약 입찰 시 가점 부여 등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주거재생플랫폼 구축과 관련해서는 단기적으로 공공부문은 관련 사업정보 및 시스템을 통합해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민간부문은 업체 관련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중ㆍ장기적으로는 온ㆍ오프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축적된 정보를 온라인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수정ㆍ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서용식 ㈜수목건축 대표는 ‘주거지 도시재생의 사업시행 사례’의 주제로 국내 최초로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에서 시행한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소개하면서 민간부문 중심의 사업시행과 공공부문의 지원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한종훈 건축사사무소 푸리 대표건축사는 ‘주거지 도시재생의 건축ㆍ설계 참여 사례’의 주제로 경기도 권역에서의 지자체와 건축사회의 업무협약 및 설계 사례를 들며 민관협력의 중요성과 마을 건축가로서의 건축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유병권 건정연 원장은 ‘중소건설업과 함께 하는 도시재생’은 시민참여형, 공공주도형 도시재생에 정책적 부가가치를 더할 수 있는 주제이므로 정부가 관심을 갖기 바라며, 중소건설업의 범위에 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도시재생 사업이 한층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건설경제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9건 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
    관리자
    조회 Hit 769            작성일 Date 2021-06-08
    관리자 769 2021-06-08
    13
    관리자
    조회 Hit 733            작성일 Date 2021-06-08
    관리자 733 2021-06-08
    12
    관리자
    조회 Hit 615            작성일 Date 2021-06-08
    관리자 615 2021-06-08
    11
    관리자
    조회 Hit 619            작성일 Date 2021-06-07
    관리자 619 2021-06-07
    10
    관리자
    조회 Hit 593            작성일 Date 2021-06-07
    관리자 593 2021-06-07
    9
    관리자
    조회 Hit 648            작성일 Date 2021-06-04
    관리자 648 2021-06-04
    열람중
    관리자
    조회 Hit 613            작성일 Date 2021-06-04
    관리자 613 2021-06-04
    7
    관리자
    조회 Hit 598            작성일 Date 2021-06-01
    관리자 598 2021-06-01
    6
    관리자
    조회 Hit 626            작성일 Date 2021-06-01
    관리자 626 2021-06-01
    5
    관리자
    조회 Hit 615            작성일 Date 2021-05-25
    관리자 615 2021-05-25
    4
    관리자
    조회 Hit 598            작성일 Date 2021-05-24
    관리자 598 2021-05-24
    3
    관리자
    조회 Hit 614            작성일 Date 2021-05-24
    관리자 614 2021-05-24
    2
    관리자
    조회 Hit 790            작성일 Date 2021-05-18
    관리자 790 2021-05-18
    1
    관리자
    조회 Hit 591            작성일 Date 2021-05-18
    관리자 591 2021-05-18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