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건축사사무소 페미카
  • 커뮤니티
  • 관련뉴스
  • 커뮤니티

    관련뉴스를 알려드립니다.

    관련뉴스

    관련뉴스를 알려드립니다.

    건설공학 전공자, 선택 가능한 직업 90여종 달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92회   작성일Date 23-05-11 11:19

    본문

    제 목 건설공학 전공자, 선택 가능한 직업 90여종 달해
    작성자 관리자
    연락처
    이메일 wnddkd65@naver.com
    서울대 연구소 ‘건설 분류 체계 사용설명서’ 발간

    토목ㆍ건축ㆍ플랜트 3종 시설물 구분
    글로벌 수급 맞춰 전환…대학ㆍ재교육 활용


    202305101603212040249-2-375769.jpg

    [대한경제=발췌] 건설공학 전공자들이 선택가능한 직업 종류가 90여종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지금까지 인류가 구축한 국토인프라ㆍ시설물 종류는 약 470종, 이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공학기술은 약 400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소장 김호경)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토인프라 및 시설, 직무와 직업 등 3개 분야 분류를 체계화한 ‘건설 분류 체계 사용설명서’를 최근 발간했다. <표 참조>

    토목ㆍ건축ㆍ플랜트 등 3종 시설물에 갇힌 단조로운 건설산업 분류체계를 글로벌 호환성을 고려해 해외시장 수급에 맞춘 것이 특징이다. 분류체계에 영문을 병행한 것도 이 때문이다.

    김호경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장(건설환경공학부)은 “건설공학기술을 필요로 하는 국토인프라와 직업이 광범위한데도 정부와 산업체, 교육기관 등은 그 대상을 토목과 건축시설물 정도로 한정시키고 있다”며, “건설공학을 선택한 대학ㆍ대학원생에게 다양한 건설의 직업세계를 알려주고, 대학교육과정을 시장과 산업의 수요에 맞게 혁신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 건설분류 체계는 시설물과 직무(job)를 수직체계인 기능 중심에서 수평적 매트릭스 구조로 바꾼 것이 특징이다.

    현행 국가직무능력표준체계(NCS)는 동일한 직무와 지식이라도 토목ㆍ건축ㆍ플랜트 등 3개 부문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갇힌 구조다. 또한 경력관리기관들이 보유한 개개인의 경력증명서는 개인의 서술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기록(record)에 의한 증빙서류에 그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업은 제출된 기술자의 경력증명서나 이력서만으로는 피고용자의 역량을 가늠하기 힘들다. 기술자들도 자신이 보유한 역량으로 소화 가능한 분야와 조직 역할이 어떤 것이 있는지, 또 자신의 역량이 어느 수준에 와 있는지 알 수 없다.

    이복남 서울대 산학중점교수는 “국내 건설기술인 경력증명서는 양은 많은데, 정작 어떤 분야에 특화된 역량을 갖췄는지 알기 어렵다”며, “현재와 미래가 요구하는 건설기술인의 직무와 역량을 예측하고 설계할 수 있는 체계도 사실상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내수용 건설분류 체계로는 시장과 기술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 과학,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에 묻혀 청년층이 건설공학 선택을 기피하는 현실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새 건설분류 체계는 시장과 직무, 일자리의 체계 정립을 통해 국내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직무역량 중심으로 전환시키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도 소속 임직원의 직무 집중도 분석은 물론 시장이나 시설물이 필요로 하는 직무를 예측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기본으로 활용할 수 있다. 관리직, 기술직 등 직군 중심에서 업무빌딩의 구조기술, 화학플랜트의 배관엔지니어링 등 직무 중심으로 인력수급 전략을 짤 수 있게 된다.

    글로벌 기업그룹도 기업 차원에서 개별 시설물과 직무의 범위를 상세하게 기술하는 해설집(dictionary)을 개발해 개인의 선호도가 아닌 분류코드로 경력을 입력하는 방식을 택한다.

    김 소장은 “과거 한 번의 기초교육 학습으로 평생동안 활용이 가능했던 시대가 끝났다”며, “새로운 건설분류 체계를 통해 국내 건설시장에서 거의 실종 단계에 있는 공학기술과 지식을 부활시켜 산업체의 경쟁력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9건 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9
    관리자
    조회 Hit 70            작성일 Date 2025-01-02
    관리자 70 2025-01-02
    58
    관리자
    조회 Hit 180            작성일 Date 2024-08-12
    관리자 180 2024-08-12
    57
    관리자
    조회 Hit 362            작성일 Date 2024-04-26
    관리자 362 2024-04-26
    56
    관리자
    조회 Hit 369            작성일 Date 2023-12-19
    관리자 369 2023-12-19
    55
    관리자
    조회 Hit 414            작성일 Date 2023-10-24
    관리자 414 2023-10-24
    54
    관리자
    조회 Hit 401            작성일 Date 2023-09-26
    관리자 401 2023-09-26
    53
    관리자
    조회 Hit 375            작성일 Date 2023-07-19
    관리자 375 2023-07-19
    52
    관리자
    조회 Hit 385            작성일 Date 2023-05-11
    관리자 385 2023-05-11
    열람중
    관리자
    조회 Hit 393            작성일 Date 2023-05-11
    관리자 393 2023-05-11
    50
    관리자
    조회 Hit 454            작성일 Date 2023-03-08
    관리자 454 2023-03-08
    49
    관리자
    조회 Hit 467            작성일 Date 2023-02-13
    관리자 467 2023-02-13
    48
    관리자
    조회 Hit 429            작성일 Date 2023-02-13
    관리자 429 2023-02-13
    47
    관리자
    조회 Hit 515            작성일 Date 2022-12-16
    관리자 515 2022-12-16
    46
    관리자
    조회 Hit 456            작성일 Date 2022-12-16
    관리자 456 2022-12-16
    45
    관리자
    조회 Hit 455            작성일 Date 2022-11-24
    관리자 455 2022-11-24

    SEARCH